기 (사성)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기(杞)는 중국 춘추 시대에 존재했던 작은 제후국으로, 전설적인 우 임금의 후손이 봉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. 기나라는 허난성 카이펑시 일대에 위치했으며, '기우(杞憂)'라는 고사성어로 유명하다. 기원전 445년 초나라에 의해 멸망했으며, 공자는 하나라의 예법을 배우기 위해 기나라를 방문했으나 실망했다는 기록이 있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춘추 시대 - 와신상담
와신상담은 오나라와 월나라의 대립에서 유래하여 복수를 위해 고난을 감내하며 노력하는 것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. - 춘추 시대 - 소 (기성)
소(蘇)씨는 중국 성씨로, 주나라 시대 소분생을 시조로 하며 춘추시대 자퇴의 난과 온나라 멸망과 관련된 사건이 있었다. - 허난성의 역사 - 상나라
상나라는 기원전 1600년경부터 기원전 1046년까지 중국을 지배한 왕조로, 갑골문 발견을 통해 역사적 사실이 증명되었으며, 발달된 청동기 문화와 문자 체계를 가졌고, 주나라에 의해 멸망한 후에도 일부 잔재가 이어졌다. - 허난성의 역사 - 정강의 변
정강의 변은 1125년부터 1127년까지 금나라의 침입으로 북송이 멸망한 사건으로, 휘종과 흠종을 포함한 황족들이 포로로 잡혀가고 사회 전반에 큰 충격을 주어 중국 역사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.
기 (사성) | |
---|---|
기본 정보 | |
국명 | 기(杞) |
로마자 표기 | Qi |
IPA | *khjəʔ |
위치 | 중국 |
시대 | 주나라 |
멸망 | 초나라에 의해 멸망 |
통치 | |
정치 체제 | 군주제 |
통치자 | 지도자1: 지도자2: |
지도자 연도 | 지도자1: 지도자2: |
역사 | |
건국 | 기원전 11세기 |
멸망 | 기원전 445년 |
멸망 원인 | 초나라에 의해 멸망 |
사건 종료 | 초나라에 합병 |
수도 | |
수도 | 기 (허난성카이펑시기현) 동평양 (산둥성타이안시신타이시) 연릉 (산둥성 웨이팡시창러현) 순우 (산둥성 웨이팡시 안추시 북동쪽) |
언어 및 종교 | |
경제 | |
기타 정보 | |
국성 | 사성(姒姓) |
작위 | 후작 백작 |
분봉자 | 상나라 탕왕 주나라 무왕 |
시조 | 하나라 우의 후예 |
건국 년도 | 기원전 16세기 |
사서 기록 | 사기 춘추좌씨전 |
2. 역사
사기의 저자 사마천이 편찬한 ''사기'' 제36장에는 기(杞)의 세습 가문에 대한 기록이 있다. 여기에는 주 무왕이 상나라를 정복한 후 전설적인 우 임금의 후손을 찾아 기(杞)에 봉했다는 내용과 '공(公)'(보통 '공작'으로 번역) 칭호를 가진 통치자들의 목록이 나온다. 처음 4명의 통치자는 주 무왕(기원전 사망) 통치 시기부터 기원전 677년까지의 기간을 넘어서고 있다. 사마천은 기(杞)가 기원전 445년, 초나라 혜왕에게 멸망했고, "작고 중요하지 않아 그 일들을 칭찬하고 서술할 가치가 없다"고 결론지었다.[2]
기나라의 역대 군주 목록은 다음과 같다.
대수 | 시호 | 휘 | 재위 기간 |
---|---|---|---|
- | 동루공 | ? ~ ? | |
- | 서루공 | ? ~ ? | |
- | 제공 | ? ~ ? | |
- | 모취공 | ? ~ ? | |
5대 | 무공 | 기원전 750년 ~ 기원전 704년 | |
6대 | 정공 | 기원전 704년 ~ 기원전 681년 | |
7대 | 공공 | 기원전 681년 ~ 기원전 673년 | |
8대 | 덕공 | 기원전 673년 ~ 기원전 655년 | |
9대 | 성공 | 기원전 655년 ~ 기원전 637년 | |
10대 | 환공 | 고용 | 기원전 637년 ~ 기원전 567년 |
11대 | 효공 | 갈 | 기원전 567년 ~ 기원전 550년 |
12대 | 문공 | 익고 | 기원전 550년 ~ 기원전 536년 |
13대 | 평공 | 울 | 기원전 536년 ~ 기원전 518년 |
14대 | 도공 | 성 | 기원전 518년 ~ 기원전 506년 |
15대 | 은공 | 걸 | 기원전 506년 |
16대 | 희공 | 과 | 기원전 506년 ~ 기원전 487년 |
17대 | 민공 | 유 | 기원전 487년 ~ 기원전 471년 |
18대 | 애공 | 알로 | 기원전 471년 ~ 기원전 461년 |
19대 | 출공 | 삭 | 기원전 461년 ~ 기원전 449년 |
20대 | 간공 | 춘 | 기원전 449년 ~ 기원전 445년 |
2. 1. 건국
주나라 무왕이 상나라를 멸망시킨 후, 우 임금의 후손을 찾아 기(杞)에 봉했다.[2]2. 2. 춘추 시대
사마정의 ''사기'' 주석에 따르면, 기(杞)는 원래 융구현(현재의 허난성 카이펑시 츠현)에 위치했으나, 춘추 시대에 동쪽으로 이동했다.[3]기(杞)는 열자에 나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 고사성어인 '기우(杞憂)'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. 이 이야기에 따르면 기(杞)나라 사람이 하늘이 무너질까 봐 자주 걱정했다고 한다. 이 고사성어는 근거 없는 공포를 조롱할 때 사용된다.[4]
기(杞)는 하나라 왕가의 후손이라고 주장했기 때문에, 공자는 하나라의 고대 의례에 대해 배우기 위해 그곳에 갔지만, "하나라의 예에 대해 논할 수는 있지만, 기(杞)는 그것을 충분히 증명하지 못한다."라며 실망했다.[2]
2. 3. 멸망
기원전 445년, 초나라 혜왕에게 멸망되었다.[2]3. 역대 군주
《사기》에 기록된 기나라의 역대 군주 목록이다. 초기 군주들의 재위 기간은 불분명하며, 춘추 시대 이후의 군주들만 비교적 정확한 재위 기간이 기록되어 있다.
대수 | 시호 | 휘 | 비고 |
---|---|---|---|
1 | 동루공 | ||
2 | 서루공 | ||
3 | 제공 | ||
4 | 모취공 | ||
5 | 매망 |
3. 1. 목록
이름 | 재위 기간 |
---|---|
동루공 | ? |
서루공 | ? |
제공 | ? |
모취공 | ? |
무공 | 기원전 750년 ~ 기원전 704년 |
정공 | 기원전 704년 ~ 기원전 681년 |
공공 | 기원전 681년 ~ 기원전 673년 |
덕공 | 기원전 673년 ~ 기원전 655년 |
성공 | 기원전 655년 ~ 기원전 637년 |
환공 (고용) | 기원전 637년 ~ 기원전 567년 |
효공 (갈) | 기원전 567년 ~ 기원전 550년 |
문공 (익고) | 기원전 550년 ~ 기원전 536년 |
평공 (울) | 기원전 536년 ~ 기원전 518년 |
도공 (성) | 기원전 518년 ~ 기원전 506년 |
은공 (걸) | 기원전 506년 |
희공 (과) | 기원전 506년 ~ 기원전 487년 |
민공 (유) | 기원전 487년 ~ 기원전 471년 |
애공 (알로) | 기원전 471년 ~ 기원전 461년 |
출공 (삭) | 기원전 461년 ~ 기원전 449년 |
간공 (춘) | 기원전 449년 ~ 기원전 445년 |
4. 문화
사마천의 ''사기''에는 주나라 무왕이 상나라를 정복한 후 우 임금의 후손을 찾아 기(杞)에 봉했다는 기록이 있다.[2] 기(杞)는 하나라 왕가의 후손이라고 주장했기 때문에, 공자는 하나라의 고대 의례에 대해 배우기 위해 그곳에 갔지만, "하나라의 예에 대해 논할 수는 있지만, 기(杞)는 그것을 충분히 증명하지 못한다."라는 말을 남기며 실망했다.[4]
기(杞)는 (, 문자 그대로 '기나라 사람이 하늘을 걱정하다')이라는 중국어 고사성어로도 알려져 있다. 열자에 나오는 이야기에서 기(杞)나라 사람이 하늘이 무너질까 봐 자주 걱정하는 데서 유래했는데, 이는 근거 없는 공포를 조롱할 때 사용된다.[4]
5. 기우(杞憂)
(, 문자 그대로 '기나라 사람이 하늘을 걱정하다')는 열자에 나오는 이야기에서 기(杞)나라 사람이 하늘이 무너질까 봐 걱정했다는 데서 유래한 고사성어이다. 근거 없는 공포를 조롱할 때 사용된다.[4]
'''기우'''는 쓸데없는 걱정이나 근거 없는 걱정을 하는 것을 뜻한다. 이는 기나라에 살던 어떤 남자가 "언젠가 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붕괴되어 몸을 둘 곳이 없어지는 것이 아닐까"라고 걱정하여 밤에도 잠을 이루지 못하고 식사도 하지 않았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. (중국에서는 옛날에 대지가 사각형이고 네 모퉁이를 천주라는 기둥이 지탱하고 있다고 생각했다.) 이와 관련된 고사성어로 '''기인지우'''(杞人之憂)가 있으며, 출처는 열자이다.
참조
[1]
서적
A Handbook of Old Chinese Phonology
Mouton de Gruyter
[2]
서적
The Grand Scribe's Records, Volume V.1: The Hereditary Houses of Pre-Han China, Part I
Indiana University Press
[3]
서적
[4]
서적
500 Common Chinese Idioms: An annotated frequency dictionary
Rourledge
[5]
문서
礼記
[6]
문서
代 (戦国)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